레이블이 게시판_프로그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게시판_프로그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던전앤드래곤 등 고전게임 히트박스(판정박스) 보는 법 기록 - Mame-rr 그래픽옵션 + FBA-rr + Lua Script + 치트 (최종수정 2025-07-27)

* 수정(2025-07-16) : Mame-rr 바이리니어필터링(흐림) 끄는방법 알아내어 추가

* 수정(2025-07-27) : 치트 사용법 알아내어 추가


히트박스를 보기위해 Lua Script 라는걸 적용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 Mame-rr 과 FBA(파이널번알파)-rr 이라는 좀 된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최신에뮬 MameUI64 는 메뉴에 Lua Script 항목이 있긴 한데 아래 스크립트 파일이 안먹힘. 다른 에뮬은 모르겠습니다. 검색은 많이 했는데 결국 실패함)

 2011년 이후로 에뮬레이터 버전업이 더이상 안됨. 2016년이 최종인 듯.


* Mame-rr 장점 : 편의성 더 좋음.

* Mame-rr 단점 : 화면이 흐리게 나온다. 바이리니어 필터링 못끄는 듯. => 끌 수 있음.


* FBA-rr 장점 : 화면은 깨끗

* FBA-rr 단점 : 편의성이 떨어짐. 강제세이브+로드 10개밖에 안됨. 로드시 소리가 이상해진다거나 하는 현상 발생(잠시후 사라짐).

ㄴ★윈도우10에서 60프레임이 나오지 않고 프레임이 빠질 수 있다. 그렇다고 호환성 윈7로 실행하면 일시정지시 강제종료됨. 호환성 윈98로 해도 증상 동일함. (CPU는 라이젠 8600g)


* Mame-rr (2011년. 0.144-test0) : https://code.google.com/archive/p/mame-rr/ (왼쪽 Downloads 에서 test0버전)

* Mame-rr (2016년. 0.139-v0.1 beta) : https://github.com/TASEmulators/mame-rr/releases/tag/v0.1-beta

 (두 버전 차이는 모르겠음)


* Mame-rr 구버전들 과 약간의 설명 : https://tasvideos.org/EmulatorResources/Mamerr

 (왜 나중 버전이 마메버전이 더 낮은가)


* FBA-rr (비추천) : https://code.google.com/archive/p/fbarr/downloads

 (참고 : 파이널번 용 롬은 마메용 롬과는 다릅니다. 구글에 「non-mame roms」 검색하면 'Planet Emulation' 이란 곳에서 FB Alpha 용 롬을 받을 수 있으며, 파이트케이드 롬과 같습니다.)

 ㄴ*주의1 : 파이널번 쓸땐, 메뉴 Select blitter -> Basic 으로 해야 박스가 제대로 나옵니다. 안그러면 작게 나와버림.

ㄴ*주의2 : 만약 게임 키설정시 FBK_KANA 어쩌고 나와서 입력이 안된다면, 파이트케이드 설명글 https://soulslip.tistory.com/120 의 해당항목 참조하여 수동으로 설정해야함.


* Lua Sciprt (2016 최종업뎃)

https://github.com/Jesuszilla/mame-rr-scripts/tree/master

- 던전드래곤 것을 보려면 'beatemup-hitboxes.lua' 파일을 클릭하면 내용이 나오는데, 우상단 화살표로 다운로드 가능

 (롬은 구글검색으로 받으니 됩니다. wowroms 같은데서 받음.
- 부가정보 : 원래 던전앤드래곤2는 cps2 기판이라, 바이오스파일인 qsound.zip 또는 최신마메에서는 qsound_hle.zip 파일도 필요하지만, Mame-rr 에서는 없어도 구동되었음)

- 다른 Lua 파일들을 받으면 스트리트파이터 시리즈나 KOF시리즈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 히트박스 보는 법

- Mame-rr : 실행후 「Ctrl + L」 을 누르면, Lua script 를 로드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위에서 받은 beatemup-hitboxes.lua 지정하고 Run 누르면 그때부터 표시됩니다.


- FBA-rr : 메뉴에 Lua Script 항목이 있으니 거기서 열면 됩니다.



* 주의 : 100% 정확하진 않습니다.
 예를들면 아래 스샷처럼 오일 범위는 제대로 표시되지 않았습니다.



 이 외국인 글을 보면 오일범위도 제대로 표시되었는데 어떻게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스크립트를 수정한것 같은데, 해당 링크는 오래되어 깨져있음.


* 참고1 : Mame-rr 인터페이스는 후바 같은 것들보다 불편합니다.

- 강제저장할땐, F7을 눌러도 정지되지 않음. 슬롯 누를 때 비로소 그때 상황이 저장됩니다.

 해결법은 일시정지 한 다음 저장하면 됩니다.


* 참고2 - beatemup-hitboxes.lua 에서 지원하는 게임들 (파일내용 보면 알 수 있긴 함)

파이널파이트, 던전앤드래곤 1,2, 캐딜락&공룡, 퍼니셔, 에일리언vs프레데터, 배틀서킷

 (개인적으로 천지를먹다2 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 (추가) Mame-rr 바이리니어 필터링(흐림) 끄는 방법 + 치트 사용법

* 필터 끄는방법 출처 - Mame-rr 비디오옵션 설명글(영문) : https://github.com/TASEmulators/mame-rr/blob/0.139/mame-rr/docs/newvideo.txt


 다음 내용으로 .bat 파일을 만들어 그걸로 실행하면 되었습니다

mame-rr -video d3d -noswitchres -triplebuffer -nofilter -cheat


 <설명>

mame-rr 실행파일 이름

-noswitchres 는 빼도 됨.

-triplebuffer는 끊기는거 해결하려면 넣으라고 해서 넣음

-nofilter : 이게 바이리니어 필터링 끄는 것.

-cheat : 치트 사용 옵션


* 치트 파일 있는 곳 - Pugsy's Cheats : https://www.mamecheat.co.uk/mame_downloads.htm 

 (0.144걸 받았음. 0.139에서도 되었음)

 압축푼후 cheat.zip 파일을 마메 실행파일 있는곳에 두면 됩니다.

 => 7/28 기준 파폭으로만 접속가능함. 어째선지 엣지,크롬,웨일로는 접속불가



* Tags : #Dungeons & Dragons - Shadow over Mystara, #DDSOM, #D&D2 SOM, #던전드래곤 섀도우 오버 미스타라, #고전게임






던전앤드래곤2 D&D2 SOM 핵롬(US 피닉스에디션 Plus) + 실행기 + 각종 모드(C모드, D모드 등) 하는 법 정리 / Mame32More 0.84.250 / Mame32m (최종수정 2025-08-31)

* 검색어 : 던전앤드래곤 섀도우 오버 미스타라 핵롬 C모드, D모드, DDSOM, 던전드래곤


* 수정(2025-08-31) : 레드C모드 몹들 공중인식함 추가



(원자료 및 정보글을 작성하신 http://dnd2.net 네임리스 님께 감사드립니다. 아래 출처 표기함.)


이게임 접은지 15년쯤 만에 다시 하게 만든 핵롬에 대해 설명합니다.

본인처럼 하는법 찾아 헤메는 혹시모를 사람을 위해.


* 관련링크 - 원코인(1CC) 공략 영상들 (자막).  (수익 미창출 채널)

 - 엘프 : https://youtu.be/mLwkNsjQvcM

 - 성직자(클레릭) : https://youtu.be/jvlm5AMagTk

 - 전사(파이터) : https://youtu.be/rYtmFB8G9tY

 - 시프 : https://youtu.be/Zx5Z2yh-coI

 - 마법사 : https://youtu.be/ssARGf0VOdg

 - 드워프 : https://youtu.be/qW81S7sUqKA


 던전드래곤2 핵롬 플레이 방법

1. Fightcade : 넷플 플랫폼

 사용법을 아예 모른다면 https://soulslip.tistory.com/120 글을 참조하면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롬파일 자동 다운로드 스크립트가 있어서 자동 다운로드 됩니다.

 Fightcade 접속 후, 던전 핵롬 방은 ddsoma 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롬이름 ddsoma4ppdec)

 * Fightcade 장점 : 현재 그나마 사람이 많음.

 * Fightcade 단점 : 최대 2인 플레이만 지원함.

 아래 고팁이 한글채팅이 안되기 때문에, 일반롬 방인 ddsom 방에서 주로 대화합니다.

2. 마메32More (아래 자료)

  Mame32m 이라고도 부르는 듯. 이하 '마메32m'으로 칭합니다. 중국에서 개발된 듯.

* 마메32m 장점

 - 리플레이 저장+재생 정상 지원 (옛날 마메처럼 .nv파일 매번 삭제하지 않아도 됨)

 - 자체 연사 지원. 커스텀버튼 지원.

 - D&D2 핵롬 지원


(HBMame(홈브류마메) 라는걸로도 가능하긴 한데, HBMame는 넷플도 안되고 핫키도 없으며 연사도 지원안해서 많이 안좋습니다)


3. GOTVG (=고팁, 고티비지)

 : 중국 넷플 플랫폼인데, 중국 핸드폰번호가 있어야 가입 가능하므로 한국인이 직접 가입은 어려우나, 타오바오에서 구매 가능.

 아이디가 있는 사람들끼리는 이 플랫폼이 주로 이용됩니다.

* 타오바오에서 아이디 구매 가능한게 확인되어 글 추가함

- 중국 넷플 플랫폼 고티비지(Gotvg) = 游聚网(Youju ?) 아이디 구매방법(타오바오) + Gotvg 사용법, 플레이방법 기록 : https://soulslip29.blogspot.com/2025/06/gotvg-youju-gotvg-2025-06-27.html




■■ Mame32More 0.84.250 + D&D2 핵롬 자료

 * 파일명 : Mame32More 0.84.250 + DDSOM Hack.7z

https://drive.google.com/file/d/118QBnAjuSoTDl3rawCkNFf0zx1n_OZMj/view?usp=drive_link

(우측상단 화살표로 다운로드)

 * 자료 부가설명

- 원 자료출처 : dnd2.net 의 '네임리스' 님의 글 http://www.dnd2.net/freeboard/132910 )

 (원자료에서 \ini\ 폴더의 ddsomudp.ini 파일 삭제했습니다. 이 파일이 있으면, 해당 게임만 메뉴의 설정을 먹지 않게 되어버리기 때문. 이제 정상적으로 설정이 적용됩니다.)

- Mame32m.exe로 실행하는데, Mame32mCNP.exe는 뭐하러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 넷플을 위한 카일레라는 R22버전(한글) 포함인데, R23.1버전(English)도 압축파일로 포함해 놓음.

- For English : Language Change




■■ 각 모드 켜는 법

 (원출처 : dnd2.net 의 '네임리스' 님의 글' : http://www.dnd2.net/freeboard/132983 )

롬은 Phoenix Edition, Plus 를 실행해야 합니다.

★핵롬을 실행만 한다고 해서 모드가 켜지는 게 아니고, 게임내에서 수동으로 켜야 합니다.


1. 먼저 게임시작후 F2를 눌러 설정에서 난이도를 8 로 설정해야만 합니다.

 난이도가 8이 아니면 모드들이 켜지지 않습니다.

 (게임시작후 로고 기다리는게 지루하다면, F10누르면 빨리 넘어갑니다. 싱글 플레이시만)





2. 아군 캐릭터 출현 후 이름묻는 NPC가 나오기 전까지, 자유롭게 모드 설정 및 캐릭터 색상변경이 가능합니다.

 모드 변경은 1P에서만 가능합니다. 캐릭 컬러교체는 다른사람도 가능.

* C모드 (크레이지 모드) : Start+C+D

  3명이상 플레이시는 보스가 2마리씩 나오는 레드C모드가 됨.

* D모드 (보스 데스매치 모드) : Start+B+C+D

* H모드 (드웝,엘프 없이 해당루트 열리는 모드) : Start+A+C

* S모드 (스피드모드) : Start+B+C

* 모드 없애기 : Start+A+B

* 캐릭 컬러 교체 : (아무 모드나 켠 후) A+B+C (마법사, 성직자는 안되고, 기,드,엘,시 4캐릭만 됨)

* 좌하측 타이머 ON/OFF : 1P가 Start + ↓(끄기) or (켜기) 로 타이머 ON/OFF가 가능합니다.

 ㄴ타이머를 끄면 D모드 버그날 확률이 낮아진다 합니다.


 모드가 적용되면 우하단 글씨가 즉시 바뀝니다. 

 C모드로 바꿀 경우 이후 튀어나오는 고블린이 즉시 강화되니 주의

D모드의 경우

H모드 + 캐릭 팔렛변경. 2P 시프가 1P시프 컬러가 되었다.


엘프 컬러변경




■■ 각 모드 설명

- 핵롬은 기본적으로 A를 누르고 있어도 발차기 같은게 나가지 않도록 됨.

■ D Mode

 이름지은 후, 캐릭별 아이템들이 부여되며 바로 보스들과 배틀.

▶ D모드 장점

 - 플레이시간이 짧다(20~25분 정도?)
 - 각종 장비와 무기를 갖고 시작 : 건틀렛,스피드부츠 안깨짐. 전사캐릭들은 바람의검, 마법사는 위저드리 지팡이, 성직자는 모닝스타
 그외 라이트닝반지, 힐반지, 은무기 등.

 - 어려운놈들이 앞쪽에 배치되어있어 죽을거면 빨리 죽음

 - 공략을 알면 할만함(?)

 D모드 단점

 - 중국산이라 하자가 있다. 확률로 후반 키메라전에서 치명적 버그로 다운될 수 있음.

 ㄴ좌하측 타이머를 끄면 버그확률이 매우 낮아진다 합니다.

 (맵이 나그파 맵인데, 오른쪽 상자 안까면 확률 높아짐?)

 키메라의 아무 공격동작 타이밍에 발생하는 듯(키메라의 모습이 사라짐), 빨리 죽이면 버그를 안 볼 수도 있음.

 - 게임시스템의 구멍들을 실감할 수 있음 (공격버튼으로 공격이 안되고 물건 줍다가 처맞는다거나, 시프의 뒤잡기 등이 의도지 않게 나가서 얻어맞는다거나, 공격하다가 앉으려고 하면 백점프가 나간다거나)

 특히, 가드(←+A) 바로취소시 뒷방향으로 강공격이 나가버리는 건 전작 타워오브둠에 없던 버그이다. 이 강공격 커맨드 버그 때문에, 가드(←+A) 직후 2프레임동안 가드가 풀리고 다시 가드하는 버그도 볼 수 있다.


 D모드 _ 보스 등장 순서

- 페이즈1. 에저호든 -> 맨스콜피온 -> 오거1마리 -> 리치 -> 블랙드래곤 -> 하피x2

 (이후 상점이용 및 마법회복)

- 페이즈2. 다크워리어2 -> 다크워리어1 (+ 해골5마리씩) -> 그린드래곤 -> D비스트 -> 리치(지진 사용안함) -> 프로스트사라만다+만티코어

 (이후 상점이용 및 마법회복)

- 페이즈3. 나그파 -> 비홀더 -> 오거형제 -> 키메라x2 -> D비스트x2 -> 텔아린형제 -> 신


 D모드 특징

* (메리트) 건틀릿, 스피드부츠가 기본착용되며 부서지지 않습니다. 단, 컨티뉴 하면 부서짐.

 전사캐릭들은 LB반지 기본 보유. 이걸로 첫 보스인 에저호든 상대 가능.

* 전사캐릭들은 더미데이터였던 '바람의검' 기본 소지. 보통 시작하자마자 무기 교체함.

 ㄴ클레릭은 '모닝스타' 기본소지. 뺑뺑이(↓,↑+A)기술이 리치, 사라만다에서 좋음.

* C모드와 달리 라볼크리 가능함.

* 보스들 패턴은 더 어렵게 된듯.  ex) 리치에서 도망다니다 보면 지진을 2번이상 사용

* 팀플레이시 컨티뉴하면 보스HP가 풀로 회복됩니다.

 => Fightcade에서는 처음에 FREE PLAY로 설정되어있는데, 이때문에 F2 게임설정에서 FREE PLAY가 아닌, 동전을 넣을 수 있도록 변경하면 좋은 듯. 그러면 동전을 넣으며 버틸 수 있습니다. 컨티뉴 카운트가 소모되면 아이템들이 다 사라지기 때문.

* 팀플레이시는 잡몹 수가 증가하고, 다음 보스까지 대기시간이 짧아집니다. 4인플 시 5초 후에 다음 보스 튀어나오기도 함.


* ☆ 적 무적버그들

- 이전 보스를 마무리한 공격에, 다음 보스는 처음에 무적이 됩니다.

  (정확히는 'HP가 화면에 표시되는 보스'를 마무리한 공격과 연관)

 ex) HP표시되는 보스를 평타1타로 마무리했으면, 다음 보스 등장시 평타1타가 아닌 다른 공격을 가해야 버그가 풀립니다. (평타2타로 마무리시 평타1타는 먹힙니다)

 드워프는 평타1개의 1히트, 2히트가 다른공격 취급되어 괜찮습니다.


- 사라만다 마법무적 버그 : LB오일로 피니쉬 못하면 확률로 발생 (원인 모름)

- 구울 무적버그 그대로 있습니다 : 적 구울이 가드시는 다른 기술을 먹여야 합니다. 같은 기술에 구울은 무적이 됩니다.

- 그린드래곤, 블랙드래곤 : 등장시 1프레임 동안, 직전 보스가 쓰러진 위치에 위치되는 것 같으며, 만약 그때 때려지면 몸통에 공격판정이 계속 남아있는 버그가 걸릴 수. 주의 필요.

▲ 다워 쓰러진 자리에서, 그린드래곤 등장하자마자 히트됨 -> 이후 몸통에 계속 공격판정

 ㄴ 블랙드래곤은 첫등장 1프레임 공격되면, D키로 인한 공격들에 면역이 된다고 합니다.


- 그린드래곤 공격판정만 나오고, 몸통이 안나타나서 때릴 수 없는 버그 (마법사로 플레이시 시작할때 위쪽에 있으면 발생?)
 (맨위 링크의 원코인 공략영상 - 마법사 영상의 맨뒤에 첨가)

- 그외 혈거인(스콜피온에서 나오는) 구석 무적버그(아직 확실X) 등



 C Mode  (위 dnd2.net 네임리스님 글에서 가져옴)

 - C Mode는 크레이지모드라고 해서 플레이어 수 마다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 개수 제한, 오리지널 난이도보다 대폭 상승,

   보스 패턴이 다양함과 동시 복잡, 피통 상승, 인공지능 상승, 가장 중요한건 시간이 지나면 퇴근을 하지 않습니다.


 - 법사, 직자 중 하나라도 고르고 하면 보스 피통이 많이 늘어나고, 2명 이상 고를 시 감당 못할 정도로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 핵버전으로 인해 물리공격 데미지가 많이 하향먹었습니다. 눈치껏 콤보 우겨넣으셔야 합니다.


 - 레드드래곤 처치 시 바람의 검(전설의 검)이 드랍됩니다. (3인이상 일때만)


 - 엘프로 그린드래곤을 공략시 용뿔(핵버전에서만 구현함)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용뿔의 성능 : 물리공격시 블레스 효과, 물리공격 면역인 가고일을 잡을 수 있음

  (추가) 2인일 땐 드랍확률 낮고, 3~4인(레드c모드)일땐 매우높음. 잔상이 생기는 효과가 나오면 캐릭이 잠시 무적이 됨.


 * 부가설명

- 건틀렛,스피드부츠 안깨집니다. 이름지을때 G타입(건틀렛) 추천.

- 불반지 등도 내구성이 증가했습니다. 원래 2~3번 맞으면 깨지던 게 5번쯤 맞아야 깨집니다.

- 레드드래곤, 신이 LB오일 및 불마법(+불항아리)에 면역.

- ☆대미지는 아시아판보다 더 높습니다.

 ㄴ엘프는 다크워리어 전기 3번 맞으면 사망 (원래 4방)

 ㄴ용 싸다구, 신의 손바닥 불 대미지도 큼 등.

- 레드드래곤, 신에서의 라볼크리는 1인플일때만 1회 및 일정시간 이내에서만 가능.

 실패시 Fail이라는 글자 뜸. 근데 버그인지 처음부터 Fail 뜰때도 있습니다.


■ RED C Mode (3인 이상시 이 모드가 됨)

 (위 dnd2.net 네임리스님 글에서 가져옴)

 (노멀 C보다 힘듦)

* 노멀 C Mode와 같다고 보시면 되고 추가적으로 특정 스테이지에서는 보스가 2마리만 등장만 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에 없었던 쫄이 방해를 합니다.


 - 1~2인 C Mode와는 다르게 RED C Mode 에서는 특정마법면역, LB오일 면역을 가진 보스가 몇 있습니다. 특히 나그파(독수리 보스)는 특정 피가 도달하면 일반공격만 가능하고 아이템, 마법은 전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3인 이상 플레이를 하는 경우 보스에서 죽을때 컨티뉴를 하면 피통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100퍼센트 회복합니다.


 - 라이트닝 크리를 무한으로 사용이 금지됐습니다. 주어진 시간 내에 한번이라도 실패하면 FAIL 이라고 뜨고 설령 쓴다 하더라도 데미지 누적도 안되며, 드래곤 눈이 찌푸리지 않습니다.


* 추가기록) 스트라이킹 걸고 가고일을 때릴 수 있습니다.

- 성직자 턴언데드(A+B) 사용시, 보스전에서 HP가 닳습니다.

- 보스전에서, 보스+몹들이 아군 공중인식을 합니다. (공중에 있어도 공격당함)

- 보스전에서만, 시프도 가드 가능. 대신 판정은 다른 캐릭보다 안좋다 합니다.

- LB오일면역 : 키메라, 레드드래곤, 신 

- 다워1이 LV3마법 면역이라, 성직자의 컨티뉴얼라이트(CL),라볼(LB) 안먹힘

 다워2에서는 검은색(다워2),파란색(다워1) 모습으로 번갈아 바뀌는데, 파란색(다워1)일때 LV3마법 안먹힘 + LB오일도 던져본 결과 안먹혔음.

- 리치는 처음에 한대맞으면 첫번째 지진을 바로 씁니다.

- 만티코어, 키메라 : 기상시 역가드공격(점프 방향전환 ↓+A) 안먹힘. 

 ㄴ기상시 아군이 몸체에 겹쳐있다면 바로 돌진공격 사용해버림. (기사가 백점프 중에도 공중인식되어 사용함)

- 사라만다 : 바람의검으로 치면 속성검처럼 사라만다가 쓰러집니다.

- 에저호든 : 2번째 나오는 에저호든은 일정HP이하시 색이 진해지는데, 이때 LB,FB 면역

 첫번째 에저호든은 아군캐릭을 물었을 때, 바람의검으로 치면 풀림

- 다워2 : 처음엔 다워2가 등장, 두번째는 다워1 등장

 다워1,2번갈아가며 변신되는데, 다워1(파랑)일때 LV3마법(파볼,LB) 면역

 번갈아가며 변신되더라도, 기사로 대공칠때 낙하 속도는, 처음등장하는놈은 다워2로 고정, 두번재는 다워1로 고정.

- 나그파를 클리어해도 마법이 회복되지 않습니다.

- 최종보스(신) 직전에 그린드래곤이 나오는데, 좌하측 타이머를 끄면 1마리, 켜져있으면 2마리 (아닌듯, 켜져있어도 1마리 나오길래 나중에 알게되면 수정 예정)

- 그외 : 블러핑에딕트님 영상 - https://youtu.be/J65W3aIjLK4?si=-xmOGKt9B6vcl94W 의 고정댓글 설명 참조


■ S Mode

- 화면에 시간제한이 매번 뜨며, 그 안에 적을 처리해야 합니다. 타임오버시 사망.

- 잡몹구간이 많이 스킵됩니다.  (ex: 사라만다 스테이지에서 잡몹구간 없이 바로 보스 등장 등)

 이때문에 렙업이 제때 안되어 마법이 회복되지 않는 구간이 있습니다.

 스킵구간이 많으므로 플레이시간은 30분대 정도 나옵니다.

 

 H Mode

 (맨위 링크 dnd2.net http://www.dnd2.net/freeboard/129452 글 마리엔님 댓글에서 가져옴)

 드워프, 엘프 없이 해당 루트 선택 가능한 모드. 다른 모드들의 기본이 된다고 함(D모드는 제외. 그건 아이템도 9개 살수있고, 드래곤에게 LB오일 먹힙니다)

- 보스 체력이 ????가 아닌 전부 보이게 패치

- 상점 오일 구매 수량이 일정 갯수로 제한됨 단, 주워서 모으는건 됨

- 용에게는 불관련 아이템 및 스킬이 면역됨

- 캐릭터 중복 선택 및 컬러를 바꿀 수 있음 (직법제외)

- 저주의검 풀 때 화면에 카운터 표시됨




 카일레라 넷플레이 방법

 : 맨위 링크 dnd2.net 에 있는 후바(houba)와 사용법 동일


 만약 서버 접속이 안된다면, 백신프로그램 방화벽에서 이 마메 실행파일을 허용하세요 (본인의 경우 Avast에서 허용해야 되었음)

* 메뉴 -> Play Kaillera Game


* '목록 갱신'을 누르면, 접속가능 서버들이 뜹니다. 
 닉네임과 접속속도(빠를수록 반응속도 빠름. '랜'이 가장 높음)를 설정하고 접속.

* 우클릭으로 방을 만들 수 있습니다. 혼자서도 시작 가능

* 게임시작시 Ctrl + Shift 를 누른 상태에서 시작하면 \inp 폴더에 리플레이가 기록됩니다.
메뉴의 '리플레이 재생' 에서 재생 가능합니다.




* Tags : #Dungeons & Dragons - Shadow over Mystara, #DDSOM, #D&D2 SOM, #던전드래곤 섀도우 오버 미스타라, #고전게임





Sizer (창 크기 임의 크기로 조절하는 프로그램) 사용법 기록


* Sizer 홈페이지 : https://www.brianapps.net/sizer/

 아래 'Zip package' 누르면 바로 다운로드 됨. 

 홈페이지에는 인스톨러를 추천한다고 되어있지만, Zip으로 받는게 낫다. 어차피 설정값 백업하기 어려운 건 똑같다.


* 기능 : 프로그램의 창을 임의 크기대로 변경한다.

 ex) 창크기 임의 셋팅이 안되는 에뮬들에서 사용

  개인적으로 PCSX2 2.0버전 이상처럼, 창크기 직접 셋팅이 불가능한 에뮬들이 답답해서 사용합니다.


● Sizer 사용법

1. 실행하면 구석에 십자모양 아이콘이 뜨는데, 우클릭하여 Configure Sizer를 누르면, 셋팅값들을 추가할 수 있다.

 (셋팅된 값들이 있다면, 현재 활성화된 창 크기를 바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


 만약 창 위치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싶다면, 오른쪽 아래 'Move to' 항목을 'User Defined~' 로 고른 후 값을 입력한다.
직접 X축,Y축 값을 입력해도 되고, 스샷처럼 Top, Centre(화면가운데)등 미리 셋팅된 값도 있어 편리한 편.


 * 주의 : 윈도우의 프레임(가장자리)까지 포함된 값을 설정해야 한다. 즉 원하는 해상도에서 프레임 만큼의 픽셀값이 추가되어야 함.

  정한 수치와 조금 어긋날 수 있으니 반드시 실제 테스트 해봐야


2. 창크기를 바꾸고 싶은 프로그램에서 우클릭하면, 메뉴가 뜬다
 메뉴가 안뜨는 프로그램들은, 1번의 스샷처럼 구석의 Sizer 아이콘 클릭으로 하면 된다.



* 아쉬운 점 : 셋팅해놓은 정보가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백업하기 어렵다.

  (윈도우 레지스트리편집기(Regedit) 에서 정보를 찾을 수 있지만 주소도 각PC마다 달라 그냥 기록해 놓는 게 좋을 듯)



윈도우10 비정상적으로 용량 줄어들 때 - 범인 : Avast Secure Browser / Windows10 비정상적 공간 부족 / 자꾸 용량 감소

Avast Secure Browser - Abnormal Capacity Consumption 


 윈도우10 에서 C: 용량이 자꾸 급격히 줄어드는 증상이 계속 발생하였다.

 용량 큰 프로그램들을 옮겨서 40~50GB 확보를 했음에도 이젠 아예 남은 용량이 0이 되어버려서 메신저도차 실행 안되는 증상이 발생...


■ 범인은 Avast 시큐어 브라우저

 폴더별 용량 보는 프로그램 WinDirStat을 이용해 봐보니, 범인은 Avast 시큐어 브라우저 였다.


스샷엔 용량이 안보이지만, 혼자 86GB 를 처먹고 있었다...
범인이 윈도우도 아니고 백신회사의 브라우저라니 처음엔 눈을 의심함...


삭제하고 나니 86GB 확보됨...


=> 교훈 : Avast 설치할때 브라우저는 빼고 설치 하시라...

 Avast는 무료로 괜찮은 백신으로 알고있는데, 이제 백신 성능도 의심된다.


- 추가 2025-08-30) 윈도우10에서 설치시 95%에서 멈춰버리고, 윈도우 종료도 안되게 병신만드는 현상이 확인됨. 그때 Avast가 인터넷도 끊어버린다.


* 검색어 : #Avast Secure Browser - Abnormal capacity consumption, #Critical Problem





그림판 대체 프로그램들 비교 기록 - PicPick(픽픽) / PhotoFiltre / GIMP(김프) / InkScape


 그림판 대체용 프로그램 써보고 기록.

 *그림판 단점 : 배경색 저장안됨(매번 흰색으로 초기화), 그림크기변경 앵커 크기가 작아 클릭이 힘들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 여러개 써봤으나...

 ㄴ결론 : 아래 모든 프로그램이 조금씩 단점이 있음.

 결국 처음 골랐던 '픽픽'으로 돌아옴...



● 픽픽 (무료, 기업도 무료)

 * 홈페이지 : https://picpick.net/

* 장점

- 캔버스크기(바탕) 늘리는게 앵커 방식(앵커가 그림판보다 큼)

- GIF캡쳐, 동영상캡쳐도 가능한 프로그램임.

* 단점

- 선 그을때마다 무조건 2번 클릭해야 하게 되어있고, 저장시에도 1번 질문함 "투명이 사라지는데 괜찮냐?"



● PhotoFiltre (구버전 6,7은 무료. X와 11버전은 유료)

* 홈페이지 : https://www.photofiltre-studio.com/news-en.htm

* 장점 : 그림판 기능들 됨. 그리기 도형도 바로 있어 1번만 누르면 됨.

* 단점 : 캔버스크기 늘리기가 앵커 방식이 아니라, 포토샵처럼 메뉴에 들어가서 숫자를 입력해야 해서 후장에 엄습하는 고통이다.



● GIMP 김프 (무료)

* 홈페이지 : https://www.gimp.org/


* 단점 : 무겁다. 캔버스크기 조정이 위의 PhotoFiltre처럼, 포토샵처럼 메뉴에 들어가서 해야 함...



● InkScape (무료)

* 홈페이지 : https://inkscape.org/

 (다운로드에서 아래 Windows Installer Package 눌러야 다운)

* 단점 : 그림판의 기능들 (단순도형, 선긋기) 이 기본아이콘에 없음. 이미지를 늘리려고 하면 캔버스가 아닌 이미지 자체가 늘어나버림.



● 그외 검색으로 나오는 것들

* Pixlr : 온라인 전용
* PhotoPea : 온라인 전용


브라우저 글꼴 변경 방법 (윈도우10 업데이트 후 이상해졌을 때) - 크롬, 웨일, 엣지 / 글꼴 Noto-Sans KR, 맑은고딕, 굴림 비교

윈도우10 업뎃 이후 브라우저의 폰트가 이상하게 변해버리는 현상이 발생. 또 犬같은 업데이트다.


(크롬계열 브라우저에서만 발생. 파이어폭스는 이상 없음)

(맨아래 'Noto Sans KR(바뀐 폰트)' , '맑은고딕' , '굴림' 비교 스샷)


■ 수정방법

1. 크롬, 웨일

 브라우저 우상단 '…' 버튼 -> '설정' -> 모양 -> 글꼴 맞춤설정 에서,

 기본글꼴이 Noto Sans KR 로 바뀌어 있을 텐데,

 표준글꼴과 San-seriff 글꼴을 'Malgun Gothic(맑은 고딕 : 원래 폰트)' 등으로 바꾼다. 

 다른걸로 바꿔도 된다.



 참고로,

- 세리프 글꼴이란 : 획 끝에 돌출된형태가 있는 거라고 함.

- 산세리프 글꼴이란 : 획의 삐침이 없으며, 한글의 돋움체(고딕체)에 해당



2. 엣지

  설정에서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 오른쪽 스크롤을 쭉 내려서 '글꼴' 에 있다.

 마찬가지로 바꾼다.



● 글꼴 비교

1. Noto Sans KR

2. 맑은 고딕

3. 굴림






픽픽 (PicPick) - 그림판 대용, 동영상+GIF 녹화, 캡쳐 프로그램


좋은 프로그램 소개. 그림판 대용 프로그램 찾다가 찾음.


* 홈페이지 : https://picpick.net/ (기업, 개인 모두 무료)



* 장점

- 그림판 대체 가능 + MP4녹화(반디캠, 오캠 대용) + GIF녹화(꿀캠 대용) 가능

- 그림판 XP버전보다 그림 크기 늘리는 앵커 크기가 커서 편리하다


* 단점

- 그림판에서 선이나 도형 등을 그리면, 그게 하나의 개체로 취급되어 불편함이 있음.

 (윈도우 그림판은 그냥 덮어씌워지고 끝나는 데 비해)

- 그리는 도구가 툴바 고정이 불가능하다 (직선을 가장 많이 쓰는데 매번 2번씩 눌러야 그릴 수 있음)

- 녹화시간 최대 4시간 제한

- 간혹 먹통됨? 그림판기능 사용시 발생


* 타 프로그램과 비교

- 꿀캠 정품 (GIF캡쳐, 편집 프로그램) : 꿀캠은 최신 포맷인 webp(애니매이션 포함)와 APNG(애니매이션 png)가 지원되는데 강점.

- 반디캠 정품, 오캠 프리버전 (녹화 프로그램) : 이들은 녹화 시간제한이 없음

- 하이퍼스냅 (캡쳐 프로그램) : 현재 유일하게 「타이틀바 제외하고 활성창만 캡쳐」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인 듯 하여 강점.

 => 즉 완전 대체는 어렵지만 사용자에 따라 충분히 이들을 어느정도 대체 가능할 듯.



■ 기능

1. 그림판(윈도우10버전) 대체 가능


▲ 그림판에 있던, 그림파일을 가져와 붙여넣기 하는건 '붙여넣기' 메뉴에 있음.


* 윈도우10 그림판은 배경색을 설정하려면 '배경색 선택 -> 색 선택' 2번 클릭이 필요하여, XP그림판에 비해 퇴화되었다.

 그러나 픽픽은 XP그림판처럼 우클릭만으로 다시 가능케 되었다.

 게다가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설정이 살아있다. ex) 일일히 배경색을 회색으로 재지정 안해도 됨.



2. 동영상 및 GIF 녹화

▲ 메인 화면에서 '화면 녹화 도구'를 선택하면 녹화도구(MP4 / GIF) 가 뜬다.

▲ 여기서 소리녹음 여부 및 MP4,GIF 선택 가능함(옵션엔 없음).
(반디캠과 인터페이스가 유사함)
Shift 누르고 방향키로 확대/축소 가능.
범위 설정들의 보존은 아직 안되는 듯 (반디캠은 Shift+우클릭으로 가능).



● 설정 기록

1. 단축키는 2곳에 나뉘어 있다.
▲ 먼저 '사용안함'으로 해야 단축키가 모두 삭제된다. 그다음 쓰고싶은 것만 설정하는게 편하다.

▲ '녹화 설정' 항목에, 녹화 단축키가 따로 있음. 저장폴더, 녹화 품질 등 설정

2. 자동실행 끄기

3. 자동저장 설정






(2025년) 동영상 녹화 프로그램 비교기록 - 픽픽,오캠, 반디캠, ShareX, OBS 등 (수정1)

* 수정1(2025-04-07) : 픽픽(PicPick) 추가


 옛날 한번 해봤으나 잊어버려서, 다시해보고 안잊어먹기 위해 기록.


● 픽픽=PicPick (추천)

 광고가 없는 점에서 오캠보다 앞선다.

* 홈페이지 : https://picpick.net/

- 단축키 설정이 그림 캡쳐와 녹화 따로 되어있는데, 녹화를 하려면 '화면 녹화 도구'를 열어야 함. 화질은 중간화질 이상으로 해야 봐줄만.

* 장점 : 캡쳐+녹화 둘다 됨.

 그림 편집기능도 있는데 윈도우 그림판(윈10버전)의 상위호환이다. 예를들면 색깔에서 우클릭하면 자동으로 배경색으로 지정되고, 다음에 열때도 유지된다. (XP그림판의 인터페이스 채용)

* 단점 : 녹화 최대시간 4시간



● 오캠 (국산. 추천)

: 무료로 사용시 프로그램을 닫을 때 광고창이 뜨는게 불편하지만, 무료이므로 감내 가능. 받는게 있으면 주는 것도 있어야 하는게 세상의 이치.

* 장점 : 무료인데 좋은 기능. 제한시간도 없다.

* 단점 : AMD GPU를 지원하지 않고, 엔비디아는 지원. (= 엔비디아 사용시 저용량에 비교적 좋은화질 가능함)

 AMD 라데온 사용자는 Open H264 코덱을 사용해야 하며, 녹화품질은 보통 이상으로 해야 쓸만하다.


 * 참고 - 프로그램 내에서, 외장코덱 선택시 3개가 추천되는데 각각 다음 문제가 있었음.

1. Xvid : 같은용량 화질 낮은듯? 화질 10(최대31) 으로 해도 별로안좋음

2. 264vfw : 괜찮지만 녹화시 앞 4초가 잘린다...

3. Google VP8 : 화질을 비트레이트로만 설정가능해서, 녹화 화면이 커지면 화질이 안좋아진다. (화질을 '퀄리티'로 설정해야 화면크기가 변해도 화질이 일정함)



● 반디캠 (국산)

* 장점 : 기능 좋음. 엔비디아, AMD 양쪽 GPU 지원

* 단점

- 무료로 사용시 녹화시간 10분 제한.

- 설정들을 프리셋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 오직 창 크기만 설정저장 지원(녹화 범위 창에서 Shift + 우클릭). 그래서 용도 바뀔때마다 일일히 설정들어가서 바꿔야 하는 귀찮음.



===== 인터넷에 검색으로 나오는 무료 프로그램들 설치결과 =====

● ShareX : 그나마 쓸만

* 장점 : 포터블(무설치) 가능, 스크린샷 캡쳐 및 GIF녹화도 된다.
* 단점 : 위 오캠or반디캠은 평소 녹화영역이 표시되는 방식인데 비해, 얘는 캡쳐를 시작할때 영역을 일일히 지정해야 하는 방식임

● OBS Studio : 방송용 프로그램

* 단점 : 전체화면 녹화밖에 안되며, 영역 녹화가 가능하긴 하지만 설정법이 고통스럽다(직접 좌표값 입력해야).

● CamStudio : 구형 프로그램?

 코덱이 없다. 엔비디아(NVENC)나 AMD가 없고 옛날 인텔코덱 같은것만 있음.

 외장코덱은 지원됨.

 기본적으로 녹화 누른다음 영역지정. 고정된 영역으로 설정도 가능하지만, 어째선지 영역을 표시를 안해줘서 불편.

 녹화 단축키 없음.


● 애플 QuickTime Player (비추천)

: 인터페이스가 구리고 사용법을 알기 어렵다.

 또 쓸데없는 애플 업데이트와 서포트 프로그램도 같이 설치됨(무려 총 3개 프로그램이 설치됨).




7zip, RAR 압축효율 희한한 증상 기록 - 특정파일 반디집7z 압축이 월등한 효율 / 7-zip

희한한 증상을 발견하여 기록.


창세기외전 템페스트2 라는 게임을 압축해 보는데,

 (보통 압축효율은 파일 종류에 따라 RAR이 더 적게 나오기도 함)


1. 반디집으로 7z 압축 - 압축률 최대. 솔리드블록 512mb 기본값 : 881MB (월등한 효율)(버전마다 약간씩 차이)



2. 파일매니저 상에서 7z압축 (7z.exe를 이용한) - 압축률 최대 : 1.204G

▲ NexusFile이라는 파일매니저로 단축키 Ctrl+A로 간편압축가능

3. 7-zip File Manager 윈도우용을 이용한 압축 - 압축률 최대 : 기본값 1.4G, 파라미터 조정시 1.165G

4. Winrar 과 파일매니저 상에서 RAR압축 : 둘이 용량 같게 나옴. 1.129G


=> ★ 어째서 반디집 7z압축이 오리지널 프로그램을 제치고 월등한 효율이 나오는지 모르겠으나 기록.


 (압축푼 파일비교는 이상없음)
* 참고1 : 반디집으로 압축시는 'thumb.db(썸네일파일)'을 자동으로 압축대상에서 제외하였음. 메뉴에 체크 옵션이 있음(압축푼 파일갯수가 달라, 뭐가 빠졌는지 찾는데 고생함).
* 참고2 : 파일에 따라 Nexusfile(파일매니저 프로그램) 상에서 7z를 이용한 압축이 가장 용량 적은 경우도 있음.



● 참고2 - 7-zip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압축시 파라미터
- 기본값은 사전크기 256mb, 단어크기 64 인데 이러면 용량 크게 나옴. : 용량 약 1.4G
- 사전크기 512mb, 단어크기 128  : 용량 약 1.1G
 이상은 메모리때문에 못올림.


[윈도우10] 공유폴더 안보일 때 해결 정리기록 - Avast(무료백신) 방화벽 끄기 등 (수정1)

* 수정1(2025-08-30) : '윈도우10 설치후 해야할일' 글에 있는 방법 추가 + Avast 비추천 추가(최하단)



 다른 인터넷 글에서 잘 없는 것 우선 기록.


 윈도우10 클린설치 후, AVAST설치 전엔 분명 공유폴더가 작동 하였는데, AVAST설치 후 도저히 공유폴더가 안보이길래 삽질하다 알아낸 정보 기록.


1. 무료백신 AVAST가 막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제어판 -> Windows Defender 방화벽에서 다음 스샷처럼 'Avast~ 에서 관리' 라고 표시된다.


=> Avast 방화벽을 끈다.
▲ 이건 체크해도 안되었고,

▲ 이처럼 아예 방화벽을 꺼버려야 파일공유(복사) 가능하였음.

 AVAST 방화벽을 꺼버리면, 첫번째 스샷의 '제어판 -> Windows Defender 방화벽' 항목도 원래대로 녹색 체크 아이콘으로 돌아온다.

 (참고로 방화벽은 설치 시 제외할 수 있는 항목이며, 옛날엔 제외하고 설치되었음)


2. 그룹정책 편집기 설정

: Windows설정 -> 보안설정 -> 네트워크 목록 관리자정책 에서 '네트워크'식별 이 안되어있다면 '공용' 으로

 시작 -> 실행 'gpedit.msc' 를 입력하거나, 검색으로 '그룹 정책' 을 치면 '그룹 정책 편집기'가 나온다.

어째선지 '구성되지 않음' 이었다. 본인의 경우 이걸 설정해야 폴더가 보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