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반만에 PC업글했는데, 내장그래픽 강화모델인 라이젠 8600g 이고, 그래픽카드는 없으며, 램 32gb.
내장그래픽 성능이 놀라워 정보 간략기록.
■■ 사양 기록
● 예전 PC
- CPU : 「i5-3570(인텔3세대 아이비브릿지)」
- 글카 : 「지포스 1060 6G (이엠텍)」 (얘만 5년전쯤 구매)
ㄴ이 글카의 문제점 : 브라우저에서 하드웨어 가속 꺼야만 함. 안그러면 가끔 블루스크린.
처음엔 블루스크린 원인이 램때문인줄. 알고보니 글카로 밝혀짐.
- 메인보드 : 애즈락 Z77 Extreme (당시 솔리드캐패시터를 썼다고 광고하여 선택. 10년 반동안 안고장남. 잘 고른 듯.)
- 파워 : 마이크로닉스 클래식2 500w (얘도 9년 반동안 안죽음. 잘산듯. 제조사 코멘트로 작동시간은 10만 시간(24시간 가동시 11년)에 무려 무상보증 6년 제품)
● 업글 PC (드래곤볼로 부품모아 조립. 65만에 해결)
- CPU : 「라이젠 8600g (새것같은 중고)」 + 듀얼타워 공랭 「서멀라이트 어쌔신 120 SE」 (근데 테스트 결과 싱글타워로도 OK 일 듯. 온도 70도 안넘고 평소 30~50도)
언더볼팅(커브드 옵티마이즈) -20 먹임. (이유는 아래)
(ㄴ쿨러 핀불량 발생 - [CPU쿨러] Thermalright Peerless Assassin 120 SE - 핀 불량 + 서멀그리스 점도 찰흙 / 서멀라이트 어쌔신 120se 조립 삽질기 : https://soulslip29.blogspot.com/2025/02/cpu-thermalright-peerless-assassin-120.html )
- 글카 : 없음
- 메인보드 : 아수스 TUF B650m-e (모니터 포트 3개 + PS/2포트가 있어 무한입력 키보드 그대로 사용가능)
(자칫 애자락 보드 고를 뻔... 애자락은 PS/2 포트 없고 모니터 포트 2개)
- 파워 : 안텍 500w(VP500P V2 A-PFC 88퍼센트)(A/S후 10년동안 짱박아둔 것)
- 램 32g (모르고 튜닝램을 사버렸는데 오버 안할거면 튜닝램을 사면 안되는 거였다...)
또, 튜닝램은 메인보드 호환성 이라는 게 있어서,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PDF문서의 목록 확인해야됨. 목록에 있어야 100% 성능(인텔은 XMP, 라이젠은 EXPO 라는, 제조사에서 미리 테스트된 값들을 바이오스에서 ON으로 함) 가능한 것임. 목록에 없으면 수동오버 해야.
- SSD : 1TB 삼성 PM9A1 (수명99% 남은 중고. 펌웨어 버전을 잘보고 사야 하는데 뒷자리가 ~7801q 면 괜찮은 것)
ㄴ참고로 PM9A1은 삼성 980pro 의 OEM 버전인데, 삼성매지션에서 지원을 안하며, 윈도우7 설치가 불가능합니다(삼성 NVME 드라이버로도 인식불가인 SSD라서). 대신 가격 더 쌈.
발열 걱정했는데 온도에 문제 없음. 메인보드 기본방열판 사용, 스티커 안떼고 평소 34~39도.
비슷한 SSD(성능+가격)로는 솔리다임P44 (하이닉스 계열사임) 가 있습니다. 해외에서만 파는걸로 압니다.
글카는 나중에 AI같은거 해볼게 아니면 안살듯. 엔비디아 독점 프리미엄이 너무 심합니다. (엔비디아 현 영업이익률 66%...)
살만한 것중 가장 낮은 RTX4060 이 46만. 중고로 사도 30만 중후반 입니다.
* CPU 언더볼팅(커브드 옵티마이즈) 값 -20 의 이유
(언더볼팅의 이유는 '낮은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더 오래 최고의 성능을 끌어내기 위함' 입니다)
커옵값 -30 -> -20으로 낮추니 OCCT 45분 통과. (유튭에서도 -20이 국민값이라고 함)
■■ 발생했던 문제
★ 윈도우10(or 11) 설치시 드라이버 잡을때 간격으로 프리징됨 : 어떻게 해결은 함. 이거 때문에 함부로 이 CPU를 추천은 못하겠음.
ㄴ (관련링크) AMD Ryzen 8600g - 윈도우10 설치시 마우스먹통 + 모니터 깜박임 증상 [해결기록 및 간략성능] : https://soulslip29.blogspot.com/2025/02/amd-ryzen-8600g-10-8600g.html
AMD 드라이버 문제인 듯 한데, 다음에 설치시는 링크에 있는대로 랜선 빼고 해보던지 해야 겠다.
* (사소?) 칩셋,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할때 C:\AMD\ 에 설치용 찌꺼기 파일들을 그대로 남겨두는 이해안가는 처리.
■■ Ryzen 8600g 성능 간략기록
● 라이젠 8600g의 내장그래픽인 Radeon 760m 성능은, 지포스GTX1060 6g 보다 30% 정도 떨어진다고 측정됩니다 : GTX1050ti 급
근거는, 영상(유튭 뻘짓연구소) https://youtu.be/b0tWSzFsOAs?si=bgNYjgbUNtCXPCUX&t=238
* 아래내용 요약 : 하지만 CPU가 빨라서 그런지 GTX1060 에 크게 꿇리지 않는 퍼포먼스.
아래 테스트는 GPU 로드율 최고 80% 정도까지밖에 안나옴. 이유모름.
● 에뮬레이터 테스트
- PCSX2 : 잘됨. 1.6.0버전도 옛날컴과 같은속도로 됨. PCSX2는 2.0.2 버전 이후 큰 속도향상.
☆ 윈도우10 특성상 옛날프로그램(1.6.0 버전)은 가끔씩 버벅거림이 있다. 사양문제가 아니고 그냥 OS(운영체제)문제였음. 윈도우7에선 문제없음.
(ex:현역 넷플 플랫폼 Fightcade에서 사용하는 파이널번네오(FBNeo)도 이런 증상 있음)
(*희한한 증상 : 유튭 재생 해놓고 옛날프로그램 돌리면 버벅임이 줄어듦.)
=> PCSX2 1.6.0 버전으로 돌릴 시, 간혹 글카를 필요로 하는 구간에서 GTX1060보다 느려지는 구간이 있었다.
- 돌핀(Wii) : 3D게임인 소울칼리버레전드 1인모드는 잘됨. 2인 모드에서는 프레임이 1/2이 되는데, GPU로드율 20%밖에 안나오는 걸로 보아 원래 게임에서 그렇게 셋팅된 듯.
(ㄴ참고 - 윈10에서 위리모트 연결성공 : https://soulslip29.blogspot.com/2025/02/win10win7-dolphin-wii-remote-3-402.html )
- 3DS에뮬 : 옛날컴은 겨우 돌았는데, 터보속도(2배쯤?)까지 가능해짐.
● 3D게임 테스트
- 소울칼리버6 : 원래 선호하는 해상도 1280x720은 그냥 잘되고, 1600x900 도 잘됨. 60프레임 (게임내 옵션에서 수직동기화 끔).
1920x1080은 최고옵션 아니면 잘되는 듯. (GPU로드율이 안올라감)
- 성검전설3 리메이크 : 1280 x 720(=720p) 잘됨. GPU로드율 70~80% 정도가 최고. 역시 FHD(1920x1080 = 1080p)는 프레임 드랍이 있다.
(참고로 옛날컴 GTX1060 에서는 1280x720에서 간혹 느려지는 구간 존재하였음)
● 인터넷
기가가 아니고 100mb 서비스인데, 빨리 뜸. 옛날컴 인터넷브라우저가 느렸던 이유는 인터넷 속도 때문이 아닌 CPU때문이었음.
임시폴더는 램디스크로 설정. (램디스크는 무료인 초경량 ImDisk 추천)
◆ 안되는 것들
1. 가상머신 프로그램인 '오라클 버추얼박스' 에서 윈도우98은 오류로 설치 및 구동불가. XP는 됨.
오라클에서 윈98은 아예 지원을 놓은 듯. 몇년간 해결 안됐으니 앞으로도 해결이 안될 듯.
= 오라클 버추얼박스_Win98은 인텔 CPU에서만 됩니다.
2. 일부 고전게임 그래픽이상 - 퇴마전설2(윈도우10 상에서)

전체화면 고전게임 호환성 문제가 간혹 있는 듯. 엔비디아 글카 끼우면 해결됨.
또는 퇴마전설2 리뷰글(https://soulslip29.blogspot.com/2024/04/win-2-bgm.html )에도 적었으나, 오라클 버추얼박스에 윈도우10 설치해서 돌리면 정상으로 나온다.
3. 안티앨리어싱 끄는 옵션이 없다...
안티앨리어싱은 고전 2D게임할 때 화면을 흐리게 만들 뿐인데, 끌 수가 없음. '응용프로그램 설정' 밖에 없다.
4. 어둠의경로의 게임 일부, 인스톨(=압축해제) 오류 (인텔CPU에서는 되었음)
◆ 단점
- 옛날에뮬 FUSION 같은건 터보 걸면 너무빠름. Mednafen 이나 레트로아크 같은걸 써야 적당한 속도가 될 듯.
- 동영상캡쳐프로그램중 AV1(AMD것)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만 효율좋은듯?
ㄴ반x캠 : 엔비디아(NVENC)와 AMD(AV1)양쪽을 지원하나 제대로 쓰려면 유료(유로 프로그램임에도 각종 프리셋 저장이 되질 않으며 2개 켤수도 없는 단점).
ㄴoCam(무료) : 엔비디아만 지원. AMD는 'Open H264' 코덱을 쓸수밖에. 저품질녹화 고화질은 안되고 보통화질은 OK. (엔비디아 였을때는 최저품질로 녹화해도 화질 좋았음)
=> 고전게이머에게 필요한 웬만한 건 되나 약간의 아쉬움.
라데온 그래픽이면 3D화면이 지포스 대비 이상하게 나올까 했는데 3D게임에서 그런건 발견못함. 고전게임에서는 발생.
글카 안달려서 고장 걱정도 없고 편하긴 합니다. CPU는 고장 잘 안나는 부품중 하나이니.
■ 2주쯤 써본 소감
옛날 프로그램중엔 인텔 CPU에 맞춰 만들어진 것들이 몇개 있는데, 걔네들은 느리다...분명 업글로 CPU성능 +400% 라고 검색에는 나오지만... 느린 프로그램들이 있다.
게임은 잘된다.
- 「이전컴(인텔)으로 윈도우7에서 옛날프로그램 돌리기」 보다, 「현재컴(AMD)으로 윈10에서 옛날프로그램 돌리기」 가 오히려 딜레이가 걸린다...
(윈도우10이 별로인OS는 맞는듯. 윈도우7 -> 윈도우10으로 오는 것만으로도 이 프로그램은 느려지는데, CPU싱글코어 +98% 업그레이드 되었음에도 느리다...해외 밈도 윈도우7이 최고의 OS로 표현되어 있음)
이런 프로그램들은 '같은 클럭에서 인텔보다 AMD가 느리다'는 말이 맞았다.
★ 결론 : 게임은 AMD, 작업은 인텔.
작업(1코어 쓰는 옛날프로그램)과 게임 같이하는 사람은 인텔을 고르는 게 좋아 보임...
또 인텔 P코어(성능)와 E코어(단순작업) 배치 문제를 윈도우에서 잘 할당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으니 잘 검색 필요(E코어는 바이오스에서 끌 수 있다고 한다).
(현시점 살만한 인텔cpu는 12세대 정도인듯 하나 CPU휨 문제 있어 휨방지킷 따로 구매 필요한 듯. 13세대(13600부터),14세대는 발열문제 심각. 11세대 이하는 보안문제 있음)
◆ 8600g 선택 전 참고정보
(기본지식 : AMD CPU는 DDR5 램과 첫 부팅시 트레이닝 때문에 시간을 잡아먹음. 5분까지도 걸린다고 하는데 본인은 그렇게는 안 걸린 듯)
1. 8600g는 7000번대, 9000번대와 달리 외장그래픽용 PCI 레인(PCI Lanes)을 x8만 지원한다.
그래봤자 x16과 x8의 속도 차이는 3% 정도라고 하지만, 외장글카를 달았을 때는 소소하게 손해를 본다는 뜻.
2. 8600g는 L3캐시 용량이 16mb로 다른 CPU의 1/2 이다 : 이것도 외장글카 달았을때 영향을 준다고하나, 수치로는 잘 모르겠음.
3. 내장그래픽이 램이 없기때문에 PC의 램을 끌어다 쓴다 = 가능하면 램용량 32gb가 추천될 듯. DDR5는 램 4개 끼우면 큰 속도저하가 발생하므로 처음부터 높게 맞추면 좋음 + 램오버시 내장그래픽 성능증가됨(출처:유튭 '민티저')
내장그래픽에 할당할 램용량은 바이오스에서 기본값 Auto(512mb라고)인데 수동지정도 가능 : UMA Frame Buffer Size.
이걸 4G 이하보다 8G 이상으로 올리면 하위1%프레임(낮게나온프레임)이 10%쯤 증가한다고 함. 4G이하로 하면 차이없음(출처 : 유튭 비교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ADzUN21RVQ)
그런데 솔칼6 돌려봤을땐 하위1%프레임 차이가 거의 안났음. Auto로 해도 알아서 시스템메모리를 가져다 쓴다.
▲ 'GPU메모리'는 뭔지 모르겠다. 알아서 수치가 조정된다.
<추가 고려사항>
4. 8500g 이하는 NPU(AI연산에 쓰이는 칩이라고)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내장그래픽 성능이 크게 떨어짐(-80%).
5. 8700g 는 내장그래픽성능 고작 +20% 정도.
결론은 8000시리즈 중. 8600g가 가성비.
6. 내부 열전도 마감이 솔더링(납땜)이 아닌 서멀그리스 처리 이슈 있음 :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606918
댓글 없음:
댓글 쓰기